6.8% vs 54.0%. 투자 종목을 쉴 새 없이 교체한 20대와
우량주를 사놓고 장기 투자한 60대 이상 투자자의 최근 1년 수익률 이야기
주식 단타 족이 최근 횡보장에서 주식을 빈번히 사고팔면서 작년 급등장에서 벌어들인 수익까지 다 까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간 우량주에 투자해 놓고 주식을 들고 있는 주식 장기 투자자와 주식 단타족의 수익률 격차는 올 들어 많게는 여덟 배까지 벌어졌다고 합니다.
초보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조급한 마음에 횡보장에서 주식을 샀다 팔았다 하면 수익률은 더 악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 증권회사에100만 원 이상 돈을 넣어놓고 투자하는 93만5949명의 주식회전율(매매 빈도)과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식 단타족과 주식 장타족의 최근 1년 수익률이 2.7배가량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식 단타족과 주식 장타족의 1년 수익률은 2배 이상 차이
주식회전율은 거래량이 많았던 올해 1~3월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회전율 300% 이상인 주식 단타를 친 투자자는 최근 1년(5월 21일 기준) 수익률이 17.5%에 그쳤습니다. 그에 비해 회전율이 50% 미만인 비교적 주식 장타 투자자의 같은 기간 수익률은 47.8%에 달했다.
주식회전율은 보유 주식을 얼마나 자주 매매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숫자가 클수록 매매 빈도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1000만 원을만원을 넣어놓고 3개월 새 주식 거래를 1000만원어치 하면 회전율은 100%가 된답니다.
20, 30대와 60대 이상의 수익률
2030세대 젊은 층일수록 종목을 계속 바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주식 단타족들은 짧은 기간에 높은 이익을 낼 목적으로 지수의 두 배로 움직이는 레버리지나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에 번갈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식 단타족 회전율 300%가 넘는 2030세대의 1년 수익률은 6.9%에 그쳤습니다.
반면 삼성전자 (KS:005930) 카카오 현대차 등 우량 대형주를 포트폴리오에 담아 1년째 장기 투자하는 60대 이상 투자자는 같은 기간 54.0%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투자자들이 지난해 큰 수익을 거둔 승리감에 빠져 거래를 자주 하다가 평균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기업의 펀더멘털이 아니라 운과 타이밍에 의존하는 투자로 높은 수익을 낼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
주가 3000~3200선 횡보장 속 '주식 단타 vs 주식 장타' 승자는 지난해 가장 쉽게 보고 들을 수 있었던 스토리 가운데 하나가 주식투자 성공기였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이 성공 후일담이 자취를 감췄습니다. 첫 주식 투자 이후 들떠 있던 주부 투자자도, 일확천금의 꿈을 품고 베팅에 나섰던 젊은 개미(개인투자자)들도 요즘 상황은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주가가 3000~3200선에서 횡보하고 있기 때문
30대 투자자 A씨는 최근 1년 수익률이 -80%에 달합니다. 변동성이 큰 코스닥 바이오주, 레버리지·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나 테마주를 위주로 투자하며 한때 큰 수익을 냈지만 점차 타이밍이 어긋나며 수익률이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종목 분석 없이 각종 테마와 운에 기대 투자하던 A씨의 월평균 회전율은 500%. 종목을 바꿀수록 수렁에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투자자 수익률 분석 결과
1년에 -80% 손실낸 A씨와 같은 ‘주식 단타족’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 증권회사의 데이터랩팀을 통해 고객 93만5949명의 주식 회전율(매매 빈도)과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은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주식회전율이 300% 이상인 20대 주식 단타족은 최근 1년간 6.9%, 6개월 수익률은 -2.4%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돈을 번 사람들은 주가가 횡보하자 올 들어 마음이 급해졌습니다. 이들이 가장 많이 매매한 종목은 KODEX 레버리지 ETF였습니다.
코스피200지수 상승분의 두 배 수익률을 거두는 상품입니다. 국민주 삼성전자도 상위종목에 포진해 있었지만 그 뒤를 이은 종목은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입니다.
KODEX 레버리지와 반대로 지수 하락에 베팅해 두 배의 수익을 냅니다. 최근 지지부진한 장세에서 지수 상승과 하락을 예상해 투자에 나섰지만 결국 저조한 수익을 기록한 셈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빈번한 거래로 인한 손실금과 거래 수수료까지 더해져 수익률이 더욱 낮아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1년 전 삼성전자, 카카오, 셀트리온 등에 투자해 묻어둔 투자자는 정반대 결과를 얻었습니다.
우량주에 장기 투자(회전율 50% 미만)한 60대 이상 1년 수익률과 6개월 수익률이 각각 54.0% 18.3%로 집계됐습니다.
투자자 B씨의 경우 지난해 주도주로 떠오른 카카오와 네이버 등에 투자한 결과 잦은 매매 없이 100% 넘는 수익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체 투자자의 평균 수익률도 같은 현상을 보입니다.
주식회전율이 50% 미만인 투자자 33만1581명의 1년 수익률은 47.8%, 50~300%(38만 9694명)의만9694명)의 경우 45.3%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회전율이 300% 이상인21만 4674명의 수익률은 17.5%까지 떨어졌습니다.
“과도한 자신감이 화근”
주가가 박스권이었을 때도...
주식 단타족이 저조한 수익을 낸 사례는 과거에도 숱하게 많았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이 5년 전 발표한 회전율과 수익률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 역시 결과는 같았습니다.
당시 회전율 100% 이하 그룹의 연간 수익률은 7.1%인 데 비해 2000% 이상 그룹은 18.4%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당시도 주가가 박스권에 갇혀 있을 때였습니다.
거래 빈도가 높아질수록 거래 수수료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거래비용에 따른 수익률 감소 효과가 회전율 100% 이하 그룹에선1.1% 포인트로 나타났지만 2000% 이상에서는36.5% 포인트로 나타났다”는 설명입니다.
주식 투자 열풍이 본격화한 작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였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지난해 국내 주요 증권사 네 곳의 표본 고객 20만 명을 대상으로 이 기간 주식 거래 등을 살펴본 결과 작년 주식시장에 첫발을 디딘 신규 투자자의 평균 주식 보유 기간은8.2 거래일에 불과했습니다.
중소형주 주식 단타 투자자, 20대, 남성, 소액투자자의 거래회전율이 높았습니다. 전체 개인투자자의 거래 중 당일 매수한 주식을 당일 매도한 거래 비중은 55%나 됐습니다.
그 결과 신규 투자자의 62%는 손실을 냈고, 이들의 누적 수익률은 5.9%에 그쳤습니다.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포함하면 수익률은 -1.2%로 떨어졌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이나 테마주에 투자한다는 것은 투자 종목에 대한 공부가 전혀 안 된 상태에서 주식을 도박처럼 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수익률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을 버리지 않으면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결론은 주식 단타 보다는 주식 장타가 더 수익률 기여에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모두 참고하시어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금융 > 주식시장(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사 실적 급등 관심주 (6) | 2021.06.07 |
---|---|
조바이든의 인프라 법안 통과 수혜 3종목 (0) | 2021.06.06 |
6월 IPO 공모주 청약 상황 (0) | 2021.06.02 |
금융 메기 토스뱅크 유상증자 몸값 천정부지 (2) | 2021.06.01 |
증시 전망.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긴축 우려에 변동성 지속 (0) | 2021.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