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통상정책2 "디지털 전환, 국제사회에서의 EU 표준.규제 영향 강화 및 대외관계 중심" 유로존 신 통상정책 전략 시리즈 (총2편) 2. 연속 시리즈 진행... [분야별 주요 내용] ③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통상 집행위는 디지털화가 그린전환과 더불어 EU의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하며, 통상정책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자상거래 규모의 성장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상품·서비스가 급증하고 있어 EU는 유럽 차원의 법적체계를 마련하고 디지털 단일 시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을 위해 데이터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바, EU는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면서도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데이터 이동 및 활용을 촉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25일, 집행위는 데이터 거버넌스 규정(Data Governance Act) 초안을 발표하며 데이터 활용을 가로막는 장벽을 제거하고 통합.. 2021. 4. 16. "WTO 개혁, 그린전환 및 지속가능한 공급만 구축 중심" 유로존 신 통상정책 전략 시리즈 (총2편) 1. "WTO 개혁, 그린전환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중심" 2021년 2월 18일, 집행위는 신 통상정책(An Open, Sustainable and Assertive Trade Policy)을 발표 현재 EU의 통상정책은 2015년 융커 전 EU 집행위 정부 때 수립되었던 통상전략(Trade for ALL)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19년 12월 출범한 신 집행위원회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WTO 위기, 디지털화, 그린딜 등 역내외 변화된 통상환경을 반영한 통상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20년 6월 16일~11월 15일 관련 역내 의견수렴을 진행 후, 내부평가를 거쳐 향후 폰데어라이엔 집행부의 통상정책 향방을 담은 정책안을 최종 발표했습니다. 이번 EU의 신 통상정책은 기존 EU가 추.. 2021. 4. 15. 이전 1 다음 반응형